티스토리 뷰

SMALL


3기 전립선암 로봇수술 연구결과 전이·재발없이 장기생존율 우수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진 3기 전립선암에서도 집도의의 시야 확보와 손 움직임이 쉬운 로봇 수술이 장기적으로 우수한 경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아산병원 비뇨의학과 안한종·정인갑·서준교 교수팀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정낭 침범이 있는 3기 전립선암으로 로봇 및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 510명을 추적관찰한 결과 10년간 암 전이 없이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로봇 수술 그룹과 개복 수술 그룹 모두 66.7%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습니다.

고위험군 전립선암 3기

정낭은 전립선과 방광이 만나는 뒤쪽에 위치해 있어 정액을 구성하는 액체를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정낭 침범이 있다는 것은 암이 전립선을 감싸고 있는 피막 밖으로 나와 주변 조직까지 침범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고위험군인 전립선암 3기로 간주됩니다.

연구팀은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정낭 침범 전립선암 환자 510명을 로봇 수술 그룹(272명)과 개복 수술 그룹(238명)으로 나눈 뒤 5년 및 10년간의 무(無)전이 생존율과 무(無)재발 생존율을 비교했습니다. 암 전이 여부는 영상 자료와 조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했고, 암 재발 여부는 전립선특이항원(PSA)의 농도 상승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비교 결과, 5년 무전이 생존율은 ▲로봇 수술 그룹 82.1% ▲개복 수술 그룹 86.1%로 나타났습니다. 10년 무전이 생존율은 ▲로봇 수술 그룹 66.7% ▲개복 수술 그룹 66.7%로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5년 무재발 생존율도 ▲로봇 수술 그룹 22.5% ▲개복 수술 그룹 20.5%였고, 10년 무재발 생존율 역시 ▲로봇 수술 그룹 13.9% ▲개복 수술 그룹 11.6%로 비슷했습니다.

전립선암 국내 발생 4위 수술과정

전립선암은 국내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암 4위입니다. 최근 인구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하면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암이 진행된 후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느 암과 마찬가지로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전이되면 사망률이 높아집니다.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 개복 또는 로봇 수술이 진행됩니다. 로봇 수술은 복부에 직경 1cm의 구멍을 대여섯 개 뚫고 로봇팔과 내시경을 넣어 전립선을 완전히 절제한 다음,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로봇 수술은 좁은 골반 안에서도 로봇팔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출혈을 억제해 집도의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해 깊이 있고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개복 수술에 비해 신경과 근육을 보존하는 데 유리합니다. 이를 통해 발기부전과 요실금 같은 후유증을 막을 수 있어 환자들의 수술 후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세 침습 수술이라 환자들의 통증과 상처가 적고 회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로봇 수술은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고가의 수술비를 내야하는 부담이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점을 고려해 현재 국내에서 이뤄지는 전립선암 수술의 약 90%가 로봇 수술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에서도 지난해 4천 건이 넘는 로봇 수술이 시행됐습니다. 이 중에서 전립선암, 신장암 등 비뇨의학과 수술이 1500여 건(약 33%)으로 가장 많습니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진 3기 전립선암에서도 로봇 수술의 장기 결과가 개복 수술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부작용 발생, 환자의 삶의 질 등 다양한 측면에서 로봇 수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면밀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교수는 “전립선암은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조기검진이 중요하다"며 "증상이 없더라도 50대 이상 남성과 가족력이 있는 40대 이상 남성은 1년에 한 번 전립선암 검진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대한비뇨기종양학회의 지원으로 진행됐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캔서 리서치 앤 클리니컬 온콜로지(Journal of Cancer Research and Clinical Oncology)’ 최신호에 실렸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