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올해 코로나 종식? 오미크론이 펜데믹 양상에 결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의 진원으로 지목받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연구진에서 팬데믹 양상이 끝나간다는 내용의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1월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연구진은 스티브비코 아카데믹 국립병원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감염 파동 추이를 현장 조사한 결과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양상이 끝나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분석 대상은 병원 내 현 유행 환자 466명의 기록과 이전 감염 사례 3976건입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전례없는 속도로 빠르게 퍼지고, 이전 변이들보다 훨씬 더 가벼운 질환을 보였다는 게 그 근거입니다. 그러면서 "이같은 패턴이 계속되고 세계적으로 반복된다면 우리는 확진자와 사망자의 완전한 디커플링(탈동조화)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4일 세계보건기구(WHO) 관계자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일부 지역의 확진자 수는 역대 최다지만, 사망자 수는 이전 유행 때처럼 많지는 않아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같은 추세는 오미크론이 코로나 팬데믹의 심각한 국면(acute phase)이 끝나는 전조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급속한 전염 국면이 끝나고 특정한 지역에서 독감 같은 엔데믹(주기적 유행) 국면에 들어선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도 코로나의 팬데믹 양상이 올해 종식돼 엔데믹이 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남아공의료연구협의회는 홈페이지를 통해 성명을 내고 이번 연구에서 현 감염 파동 동안 병원에 머문 환자의 4.5%만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전 감염 파동 당시 21%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상당수 줄었습니다.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사람 수도 적고, 병원입원기간도 상당히 더 짧았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입원율 자체는 빠르게 상승했지만, 분석 대상이 된 첫 번째 입원으로부터 33일 안에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728x90
LIST